본문 바로가기
유익한 정보 : 인생살이 도움 정보

GS샵 개인정보 약 158만건 유출! 개인정보 유출 사고 발생 시 개인의 권리와 대처 방법

by 코끼리세상 2025. 2. 28.
반응형

2025년 2월 27일,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홈쇼핑 웹사이트 'GS샵'에서 약 158만 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정황이 확인되었습니다.

 

개인정보 유출 메인 이미지

 

이는 2024년 6월 21일부터 2025년 2월 13일 사이에 발생한 해킹 공격으로, 유출된 정보에는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주소, 아이디, 이메일, 기혼 여부, 결혼기념일, 개인통관고유부호 등 총 10개 항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만, 재산 피해 가능성에 관련된 금융 정보는 다행이 유출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개인정보 유출 사고는 개인에게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유출 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다음은 개인정보 유출 시 개인이 취할 수 있는 권리와 대처 방법입니다.

 

해커 이미지

 

1. 개인의 권리

  1. 정보를 알 권리
    • 개인정보처리자(기업)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정보주체에게 유출 사실을 통지해야 합니다.
    • 통지 내용에는 유출된 개인정보의 항목, 유출 시점과 경위, 피해 최소화를 위한 정보주체의 조치방법, 기관의 대응조치, 피해 신고 접수 담당부서 및 연락처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2. 손해배상 청구권
    • 개인정보처리자의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개인정보 유출로 피해를 입은 경우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집단소송 또는 단체소송을 통해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도 있습니다.
  3. 개인정보 열람, 정정, 삭제 요청권
    • 개인정보처리자에게 자신의 개인정보 열람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열람 결과 오류가 있는 경우 정정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필요한 경우 개인정보의 삭제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서 작성 이미지

 

2. 개인정보 유출 시 단계별 대처 방법

1. 초기 대응

  • 유출 통지 확인하기
    • 해당 기업으로부터 받은 개인정보 유출 통지 내용을 자세히 확인합니다.
    • 어떤 정보가 유출되었는지, 언제, 어떻게 유출되었는지 파악합니다.
  • 진위 확인하기
    • 통지가 실제 해당 기업에서 온 것인지 확인합니다(피싱 주의).
    • 필요시 해당 기업의 공식 채널(홈페이지, 고객센터 등)을 통해 유출 사실을 재확인합니다.

2. 피해 최소화 조치

  • 비밀번호 변경
    • 해당 서비스의 비밀번호를 즉시 변경하고, 동일한 비밀번호를 사용 중인 다른 서비스들의 비밀번호도 모두 변경합니다.
    • 강력한 새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서비스별로 다른 비밀번호를 사용합니다.
  • 금융정보 보호
    • 신용카드 정보가 유출된 경우 해당 카드사에 연락하여 카드 사용 중지 및 재발급을 요청합니다.
    • 금융계좌 정보가 유출된 경우 해당 금융기관에 연락하여 계좌 감시 강화를 요청합니다.
    • 금융거래내역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이상 거래가 있는지 모니터링합니다.
  • 2단계 인증 설정
    • 가능한 모든 서비스에 2단계 인증(2FA)을 설정합니다.
    • 이메일, 금융 서비스, SNS 등 중요 계정에는 반드시 2단계 인증을 활성화합니다.
  • 개인정보 노출 여부 확인
    • KISA의 '내 정보 노출 확인 서비스'나 한국신용정보원의 '내 신용정보' 서비스를 통해 개인정보 노출 여부를 확인합니다.

 

사이버 보안 이미지

 

3. 신고 및 상담

  • 개인정보침해 신고센터 신고
    •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https://privacy.kisa.or.kr/, 국번없이 118)에 신고합니다.
    • 유출 관련 증거(통지 이메일, 캡처 화면 등)를 함께 제출합니다.
  • 경찰 신고
    •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사기, 명의도용 등)가 발생한 경우 경찰에 신고합니다.
    • 사이버범죄 관련 피해는 경찰청 사이버안전국(https://cyberbureau.police.go.kr/)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 금융감독원 상담
    • 금융정보 유출 관련 피해는 금융감독원(1332)에 신고하고 상담받을 수 있습니다.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상담
    • 개인정보 유출 관련 상담이 필요한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 : KISA(https://www.kisa.or.kr/)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118)에 문의합니다.

사이버 보안 이미지 2

 

4. 법적 대응

  • 증거 수집
    • 유출 통지서, 피해 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 금전적 손실 증빙 등을 수집하고 보관합니다.
    • 관련 커뮤니케이션 내용을 모두 기록합니다.
  • 소송 검토
    • 개인적으로 소송을 제기하거나 집단소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법률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 손해배상 청구 가능성을 검토합니다.
  • 한국소비자원 피해구제 신청
    • 한국소비자원(1372)을 통해 피해구제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법률 이미지

 

5. 지속적인 모니터링

  • 신용정보 모니터링
    • 한국신용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내 신용정보' 서비스를 통해 주기적으로 신용정보를 확인합니다.
    • 본인 명의로 발생한 미인지 금융거래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 스팸 및 피싱 주의
    • 개인정보 유출 후 스팸이나 피싱 시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의심스러운 연락에 주의합니다.
    • 알 수 없는 링크를 클릭하거나 첨부파일을 열지 않도록 합니다.

온라인 패스워드 이미지

6. 예방을 위한 조치

  • 정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 주요 서비스의 비밀번호를 정기적으로 변경합니다.
    • 서로 다른 서비스에 동일한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 개인정보 제공 최소화
    • 서비스 가입 시 필수 정보만 제공하고, 선택 정보는 신중하게 검토 후 제공합니다.
    • 불필요한 서비스는 탈퇴하고 개인정보 삭제를 요청합니다.
  • 보안 소프트웨어 사용
    • 백신, 방화벽 등 보안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최신 상태로 유지합니다.
    • 운영체제와 애플리케이션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합니다.

사이버 보안 이미지 3

7. 결론 

 

개인정보 유출은 개인의 재산과 신용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평소에 개인정보 관리에 주의를 기울이고, 유출 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반응형